CursorType 및 상수
CursorType 및 상수
앞에 나온 속성중에서 CursorType 및 상수에 대해 알아본다
앞에서 레코드셋 즉, 데이타를 다루는 단위가 레코드라고 했다. 그러면 무엇으로 현재레코드를 알 수 있을까? 바로 레코드포인트라는 것이 있어서 항상 현재레코드를 가리키도록 되어 있다. 우리는 이 레코드포인트를 이동하면서 필요한 데이타 작업을 할 수 있다. 이때 레코드포인트를 이동시켜 주는 것이 Cursor이다. 윈도우나 워드에서 화면/메뉴를 이동할 때 쓰는 Cursor와 비슷하다. 이는 레코드셋을 열기 전에 지정되어야 하며 4가지가 있다. 지정하지 않으면 ForwardOnly(0)이 지정된다. |
커서타입 상수 | 값 | 내 용 |
adOpenForwardOnly | 0 | 디폴트 타입,읽기만 가능,가장 빠르다,전방향이동만 가능 순서대로 한번씩 참조할 경우 편리하다 |
adOpenKeyset | 1 | 읽기/쓰기 가능,양방향 이동 가능, 다른 사용자 추가,삭제는 볼 수 없다 |
adOpenDynamic | 2 | 읽기/쓰기 가능,모든 이동 가능,다른 사용자 추가,삭제,수정을 볼 수 있다,성능상 많은 부담이 있다 |
adOpenStatic | 3 | 읽기/쓰기 가능,양방향 이동 가능, 본인외 다른 레코드셋 추가,삭제는 볼 수 없다 |
|
1. 상수값을 사용하는 방법 | |
Set Rs=Server.CreateObject("ADODB.Recordset") 또는 Set Rs=Server.CreateObject("ADODB.Recordset") | |
2. 상수를 사용하는 방법 ADO상수를 사용하려면 (즉,adOpenForwardOnly와 같이) 상수를 정의해둔 상수화일을 Server Side Include로 adovbs.inc화일을 포함하여야 한다 | |
<!-- #include file="폴더\adovbs.inc" --> 또는 <!-- #include file="common\adovbs.inc" --> |
*만약 레코드셋 객체를 통해 수정/삭제/등록을 하고자 하면 반드시 레코드셋에 대한 락 수준을 지정을 해야한다. (ADO연습 데이타 등록 부분 - 레코드셋 객체를 통한 데이타 등록 참고) |
락타입 상수 | 값 | 내 용 |
adLockReadOnly | 1 | 읽기전용(수정불가) |
adLockPessimistic | 2 | 레코드단위, 편집 시작 순간부터 |
adLockOptimistic | 3 | 레코드 단위, update 메서드 순간 |
adLockBatchOptimistic | 4 | 배치갱신모드 요구 |
ADO에서 사용하는 상수는 이외에도 많이 있다. 이 상수값들은 파일하나로 정의되었으며 사용을 위해 웹사이트(가상디렉토리)내에 폴더를 만들어 복사해서 두고 쓰면 된다. |